스팩주(SPAC) 알아보기 #2021년 수익율 2,972%?

2022. 3. 21. 19:03잘벌고/주식공부

728x90
반응형

공모주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적어도 한번쯤은 OOO스팩O호 같은 이름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2021년 6월 1일에는 코인세력이 붙었다는 기사사 날 정도로 스팩이 인기가 급상승하는 한해였다. 

올해도 만만치 않은 경쟁율을 보이고 있는 스팩에 대해 알아보자. 

 

스팩(SPAC)이란?

스팩이란, 기업인수목적회사 이다.

영어로는 SPAC[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 으로

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페이퍼컴퍼니(paper company)로 보면 된다.

 

인수합병 전문가들이 공모로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금을 모은 후 상장한 후 3년 내(한국기준)에 비상장 우량기업을 합병해야 한다. 못하면 해산된다.

 

일반투자자들로서는 SPAC 주식 매매를 통해 기업 인수 합병에 간접 참여하는 셈이 되고 피인수 기업으로서는 SPAC에 인수되는 것만으로 증시에 상장하는 효과가 있다. 

 

우회상장과 비슷하지만 SPAC는 실제 사업이 없고 상장만을 위해 존재하는 페이퍼컴퍼니라는 점이 다르다.

 

 

스팩(SPAC) 상장 기본구조

일반적으로 스팩은 법인설립, IPO및 상장, 인수합병의 3단계로 진행이 되고, 상장이후 주어진 3년이내에 합병을 성공하면 대상회사의 주식으로 전환되어 존속되고, 합병에 실패하면 해산된다.

 

 

스팩(SPAC)의 위험성

위 차트를 보면 스팩투자가 얼마나 위험한지 잘 알수 있다. 

물론 2,000원에 구매해서 6000원에 판다면, 아주 행복하겠지만, 2,000에 공모청약해서 얻을 수 있는 물량이 얼마 안되어서... 

상장 초반에 2000초반대에 구매해서, 이슈가 될때 파는것도 유효한 전략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심리싸움에 견딜 수 있는 내공이 필수!!!

차트에서 볼수 있듯이 급등과 급락한 날을 보면 거래량이 터진걸 알 수 있다. 

누군가는 좋은 가격으로 팔았지만, 누군가는 피눈물을 흘렸다는 것을 마음에 새겨야 할듯...

 

 

스팩(SPAC)의 기대 수익율

2021년 스팩주 수익율 계산

위 표는 2021년 일년동안 상장된 스팩주의 수익율 통계표이다. 

대부분의 스팩들이 상장후 3~4개월 안에 52주 최고 수익율을 찍었고, 상장일 시가에 2100원 안쪽으로 형성된 스팩을 구매후 자동매매로 50%에 수익실현하도록 걸어놓고 있었다면, 큰 수익을 낼 수 있었을 것이다.

 

52주 최고가일을 확인해 본다면 재밌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 표를 살펴보면 

52주 최고가를 찍은 날이 2021년 6월 1일과 2022년 1월 4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6월 1일 코인세력이 붙었다는 기사가 난걸 확인할 수 있었다. 

진짜 코인세력인지는 모르지만... 어찌 되었든 투기세력이 순간적으로 들어왔다 빠져나간건 분명한 사실이다.

2022년 1월 4일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는데...

스팩주는 합병이슈가 나오게되면 급격한 시세 변화가 나타나는게 특징이므로, 상장일 시가가 2100원 이하로 형성된다면, 여유를 가지고 투자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스팩(SPAC)의 이자수익

위에서 도표로 설명했듯이 합병에 실패시 해산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해산시 스팩마다 정해진 이자율에 따른 3년치 이자를 원금과 함께 반환하게 된다.

 

이것을 노리고 역스팩투자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역스팩의 투자의 경우 이론상으론 가능하지만, 실제로 거래되는 금액이 반환금액과 크게 차이가 없어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728x90
반응형